Even the small things are precious

Remembering the precious moments of each day...

My precious treasure that collects the wisdom of life.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04

EPS와 PER의 정의

EPS (Earning Per Share : 주당순이익)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당 기업이 발행한 주식수로 나누어 산출한 값으로 주식 한주를 보유한 주주에게 귀속될 이익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산출이익 : 1,000,000원 발행주식 : 1,000주 주당순이익 : 1,000,000원 ÷ 1,000주 = 1,000원 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누어 산출한 값으로 현재주가의 상대적인 평가에 이용됩니다. 산출된 주당순이익이 1,000원으로 동일한 두 기업이 있을 때, A 기업은 PER가 10이고, B 기업은 PER가 20이라면, 동일한 이익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A기업의 주가가 B기업의 주가에 비해 절반 정도의 저평가상태라고 합니다. A기업 B기..

주식/주식기초 2020.09.10

재무제표와 영업이익율의 정의

재무제표 (F/S : Financial Statements)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이익잉여금계산서 등 기업이 보유한 자산, 부채, 자본 의 현황과 연간 발생하는 수익, 비용 등 여러가지 재무정보를 나타내 주는 자료를 총칭한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상장된 기업은 재무제표를 일년 또는 반년에 한번 씩 공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영업이익율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산출한 값입니다. 기업의 순수한 영업활동으로 인한 수익성이 얼마나 좋은지를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어느 기업이 영업이익율이 20%라면 1,000원짜리 물건을 팔아 영업활동과 관련된 비용을 공제한 후 남은 이익이 200원이라는 것이 되겠죠. 당연히 영업이익율이 높은 기업은 매력도가 큰 기업입니다.

주식/주식기초 2020.09.10

부채비율 자기자본이익율의 정의

부채비율 부채를 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한 값입니다. 기업이 조달한 자금 중 사채와 같은 만기에 상환을 해야만 하는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냅니다. 아시다시피 주식공모를 통한 자금은 만기가 없으므로 상환부담이 없습니다. 또 부채를 통한 자금은 매년 이자를 필수적으로 지급해야 되므로 기업의 유동자금에 부담을 주게 되겠죠? 당연히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이 좋은 기업으로써 매력이 높다 하겠습니다. 부채비율 : 부채/자본 자기자본이익율(ROE : Return on Equity) 이익을 부채가 아닌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한 값입니다. 기업이 투여한 자금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는지를 나타내어 주는 지표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정한 수준의 자기자본이익율을 유지하는 기업은 그 기업이 지니고 있는 사업이..

주식/주식기초 2020.09.10

수익율과 채권수익율에 정의

**이익율(**수익율) 이익을 원금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투하된 자금으로 얼마의 이익을 얻게 되는 지를 나타내어 주는 개념입니다. 앞서 살펴본 영업이익율 같은 것도 매출에 대비해 영업이익이 얼마나 되는지 나타내어 주는 것이었지요? 채권수익율 채권을 매입하는데 소요된 자금에 대비해서, 발생하는 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0,000원의 자금으로 채권을 구입하여 연 500원의 이자를 얻을 수 있다면, 채권수익율은 5%(500원 ÷ 10,000원)가 됩니다. 즉, 액면가 10,000원, 액면이자율이 5%인 채권을 10,000원에 구입한 경우이지요. 앞서 배운 바와 같이 1년후 가치가 10,500원이 되는 채권을 현재가치인 10,000원으로 매입한 경우입니다. 즉, 액면이자율이 곧 채권수익율..

주식/주식기초 2020.09.10

주식회사에 대해

주식회사(Corporation : Joint-stock company) 상법상으로 회사의 형태는 합명, 합자, 유한, 주식회사가 있습니다. 물론 회사의 형태에 따라 법률상 권리, 의무는 각자 다릅니다. 주식회사의 주주는 각자가 보유한 지분의 비율에 따라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가 반드시 거래소나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주식회사가 더 많은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거래소나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 것을 기업공개(IPO : Initial Public Offering)라 말합니다. 즉, 소수의 주주만이 보유하던 지분을 불특정다수에게 공개적으로 매각하는 것입니다. 많은 수의 조그만 주식회사들이 지인들간의 지분관계로 여전히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회사의 규모가 크지고 자금수요가 많아지면 점차..

주식/주식기초 2020.09.10

제품의 수명주기

제품 수명 주기(PLC : Product Life Cycle) 신제품이 새로이 출시되어 대중의 인기를 얻었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제품으로 대체되어 점차 쇠퇴되어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단일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사이클에 따라 기업도 같은 과정을 밟게 될 것입니다. 성숙기나 쇠퇴기를 맞이한 기업에게는 신제품개발을 통한 재도약여부가 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도 하고, 주저앉게도 할 것입니다. 제품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기업의 환경변화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입기 → 고도성장기 → 안정성장기 → 성숙기 → 쇠퇴기 도입기 : 새로운 아이디어로 사업을 개시하는 단계입니다. 초기 자금소요가 발생한 후 일정기간 추가적인 자금소요 없이 사업타당성이 검토되는 시기입니다. 아직까지 수익보..

정보/Economy 2020.09.10

기본상식 채권수익율의 이해

채권을 매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투자수익율을 의미합니다. 채권에서 보장하는 미래의 현금수입액을 할인하여 채권의 현재가치를 산출할 때 채권수익율을 할인율로 적용합니다. 이렇게 산출된 채권의 현재가치로 시장에서 채권을 매입할 수 있는 것이지요. 어느 정도의 수익률에 채권을 매입하느냐가 곧 채권을 매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채권수익율이 5%로인 경우보다 6%인 경우에 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5%일 때보다 6%일 때 채권을 더 싼 가격에 매입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채권수익율은 채권의 액면 또는 표시이자율과는 다른 것입니다. 채권의 액면이자율은 채권이 발행될 때 이미 확정되어있지만 채권수익율은 시장에서 수시로 변동하게 됩니다. 이를 이용해 채권을 매매하여 시세차익을 노리는 거래가 이..

주식/주식기초 2020.09.10

포장 이사의 순위와 가격 알아보기

포장이사순위 알아보기✔ 누구나 믿을 수 있는 이사업체에서 이사를 진행하길 원할 것입니다. 포장이사순위는 고객의 만족도 및 평가, 인지도 등을 합산하여 매겨지므로 이사견적비교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시고 본인의 조건에 맞는 업체를 찾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포장이사업체 잘 고르는 법! 인터넷 검색 및 카페에 추천받기 현재 거주하는 지역 혹은 이사 할 지역의 이름과 이사만 넣어도 수십개의 용달과 이사업체가 나옵니다. 그 중에서 가까운 지역의 이사업체 후기를 알고 싶다면 지역카페를 이용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이 중에는 다양한 후기나 추천 글을 볼 수 있어 잘 읽어보시고 판단하셔야 합니다. 특히, 인기있는 업체는 일찍 예약이 마감되므로 최대한 빨리 선택해야합니다. 프랜차이즈로 운영하는 이사업체는 이름은 같아도 어떤 ..

정보/Economy 2020.09.09

이사를 앞두고 이사업체 선정시 알아야 하는 상식

관허업체인지 확인 포장이사 중에 관청에서 허가를 받은 업체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이사 후 피해가 발생했을 때 A/S 처리에 유리하고 만일의 경우 법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사비용을 우선 저렴하게 불러놓고, 이사 후 옵션가를 추가하는 등의 사례가 발생하므로 방문견적을 필수로 받아 구두상 계약이 아닌 방문견적 서비스로 계약서를 꼭 작성해야 한다. 이사비용은 이삿짐이 늘어날수록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정식 허가 업체인지 꼭 확인하고 이삿짐센터가격비교를 통해 마음에 드는 곳과 서면계약을 하면 된다. 이사 비용요소 확인 차량운송비용은 운송비로 산출된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짐의 양으로 이사견적이 산출된다. 이사업체의 작업 인원 수와 성별에 따라 이사비용의 차이가 발생되고 인원 추가 시에도 추가비용이 ..

정보/Economy 2020.09.09

경제 활용어 GDP

- 국민소득은 한 나라의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동안 새로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 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흔히 GDP(국내총생산)라는 용어로 불리며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엄밀히 말하면 GDP는 국민소득 지표 중의 하나로써, 가장 대표 성을 갖는 지표라 할 수 있음.) - 경제 전체적으로 일정기간 동안 만들어서(생산) 나누어갖고(분배) 쓰는(지출)양이 모두 같게 되는데 이를 국민소득의 3면 등가 원칙이라함. 생산 부문에서 GDP를 보면 제조업, 서비스업 등 업종별 생산활동 을 파악할 수 있고, 지출부분에서는 소비(민간,정부), 고정자본형성(설비투자,건설투자), 순수출(수출, 수입)로 경제활동을 나누어 파악할 수 있음. - GDP..

주식/주식기초 2020.09.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