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ox-sizing
예전부터 너비값에 대해서 애매한 부분들 때문에 사람들이 box-sizing이라고 하는 새로운 CSS 테그를 말들었습니다.
엘리먼트에 box-sizing을 설정하면 해당 엘리먼트의 패딩과 테두리가 이제는 너비를 늘리지 않았습니다.
예제는 두 엘리먼트에 모두 box-sizing: border-box;를 지정했습니다.
예제.
.ttm {
width: 370px;
margin: 17px auto;
-webkit-box-sizing: border-box;
-moz-box-sizing: border-box;
box-sizing: border-box;
}
.ttm_ty {
width: 400px;
margin: 27px auto;
padding: 35px;
border: solid red 10px;
-webkit-box-sizing: border-box;
-moz-box-sizing: border-box;
box-sizing: border-box;
}
<div class="simple">
크기가 서로 똑같아 졌습니다.
</div>
<div class="fancy">
한번 해보세요.
</div>
이와 같은 방법이 훨씬 더 낫기 때문에 페이지 상의 모든 엘리먼트가 이렇게 동작하게 만들고 싶은 분들도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페이지에 다음과 같은 CSS 코드를 집어넣습니다.
css* {
-webkit-box-sizing: border-box;
-moz-box-sizing: border-box;
box-sizing: border-box;
}
엘리먼트가 항상 이처럼 직관적인 방법으로 크기가 설정됩니다.
box-sizing은 다소 근래에 생긴 프로퍼티라서 지금 당장은 예제에서 한 것처럼 -webkit-이나 -moz- 접두사를 붙입니다.
이 기법은 특정 브라우저에서 실험적인 기능들을 활성화에 사용됩니다.
이 기법은 IE8+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하세요.
'IT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에서 opacity(투명도)와 shadow(그림자) 생성하기 (1) | 2015.03.26 |
---|---|
css기초 boxmodel에 대해서 (0) | 2015.03.23 |
배경 설정하기 (0) | 2015.03.12 |
링크와 표를 꾸미기 (0) | 2015.03.11 |
폰트(텍스트) 활용하기 (1) | 201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