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위 선택자에 대해서
1)공백을 통하여 부모와 자식을 구분지어 준다.
2)부모가 먼저 나오고 자식이 나중에 나온다.
3)특정한 엘리먼트의 하위에 나오는 엘리먼트를 선택하는데 사용한다.
<style type="text/css">
#navigation li {
color:red;
}
</style>
<div id="navigation">
<ul>
<!----- 글자 색상이 red로 지정됨--->
<li>메인</li>
<li>회사소개</li>
<li>제품소개</li>
</ul>
</div>
<ul>
<!--- 하단의 내용들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li>메인</li>
<li>회사소개</li>
<li>제품소개</li>
</ul>
2. 하나의 css선언을 통해 여러개의 선택자에게 적용하기
1)선택자와 선택자를 ',(콤마)'로 구분합니다.
2)하나의 css선언을 여러 엘리먼트 셀렉트에 적용하고 싶어할때 사용합니다.
<!--- h1과 #link 선택자와 사이에서, (콤마)를 두어 글씨의 색을 파란색으로 지정 --->
<style type="text/css">
h1, #link{
color:blue;
}
</style>
<h1> 둥둥이 싸이트 오늘도 이렇게 하루가 흘러간다.</h1>
<a id="link" herf="http://dungx2.tistory.co.kr">둥둥이 </a>
3.자식선택자 chid selector
1)ie6은 지원하지 않음
2)특정한 엘리먼트에 직접적인 하위 엘리먼트에 대하여만 선택할 때 사용합니다.
(하위 선택자와 다름니다.)
<!--- id navigation의 직접적인 자식인 li만 테두리가 생기며, <li>약도</li>의 하위에 엘리먼트
에는 테두리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style type="text/css">
#navigation>li{
border: 2px solid blue;
}
</style>
<ul id="navigation">
<li>메인</li>
<li>약도
<ul>
<li>제품소개</li>
<li>회사소개</li>
</ul>
</li>
<li></li>
</ul>
'IT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폰트(텍스트) 활용하기 (1) | 2015.03.10 |
---|---|
css로 텍스트 꾸미기 (2) | 2015.03.09 |
css의 선택자의 사용 (0) | 2015.03.09 |
css를 사용하기 (0) | 2015.03.09 |
css초보상식 (0) |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