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급등주의 일반적 특징 (1) 미래 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성장 업종과 기업을 선택 (2) 부실 기업(관리 대상 종목이나 적자 기업)에서 우량 기업(2부 승격이나 흑자 반전)으로 전환 종목 (3) 최근 1~2년간 보합권을 유지하며 오랫동안 못오른 종목 (4) 오랫동안 대부분의 일반 투자자에게 외면된 주식으로 순환매가 없었던 종목 (5) 이유없이 오르기 시작하는 종목은 시세 초기 단계로 상승하고 왜 오르는지 이유를 일반 투자자가 납득하면 시세는 끝나간다. (6) 성장주의 주간 그래프가 6개월 - 1년 기간 동안 긴 이동 바닥형을 크게 그리면 급등주가 될 수 있다. (7) 주가가 하락할수록 거래량이 늘어나거나 주가 폭락 후 더 이상 하락하지 않는 종목은 급등 확율이 높다. (8) 거래량 그래프나 역시계곡선..